시설물의 재료특성-토질 및 기초

01 흙의 기본 성질 이해

용어사전

  • 감정노동(emotional labor)

    직무상 대인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안 종업원이 조직 차원에서 바라는 감정을 표현하는 상황

  • 강한 문화(strong culture)

    직의 핵심 가치가 더 강조되고 더 널리 공유되는 문화

  • 강화이론

    행동은 그 결과의 함수라고 말하는 이론으로 목표설정은 개인의 목표가 자신의 행동을 이끈다고 제안하는 인지적 접근법으로 강화이론은 강화가 행동을 조건화 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임

  • 경로-목표 이론

    리더가 할 일은 부하 직원들이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것, 부하직원들의 목표가 조직과 집단의 전체적인 목표와 부합되도록 필요한 방향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론

  • 고착적 편견(anchoring bias)

    초기 정보에 집착하는 경향으로 인해 사람들은 후속 정보에 적절히 대처하는데 실패함

  • 공정성 이론

    개인은 자신의 직무 투입과 산출을 다른 사람의 투입 및 산출과 비교한 뒤 어떤 불공정성도 제거하기 위해 반응을 보인다는 이론

  • 귀인이론(attribution theory)

    타인의 행동을 관찰할때, 그 행동의 원인이 외재적인가 아니면 내재적 인가를 결정하려는 노력

  • 그레이프바인

    조직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

  • 근본적 귀인오류(fundamental attribution theory)

    타인의 행동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외재적 요인에 대해서 과소 평가하고 내재적 요인의 영향에 대해서 과대 평가하는 경향

  • 대리 모델링

    다른 누군가가 그 과업을 하고 있는 것을 보기 때문에 더욱 확신하게 되는것

  • 명목 집단법

    개별 구성원이 대면으로 만나 체계적이지만 독립적인 방식으로 판단을 모으는 집단의사 결정 방법

  • 목표에 의한 관리: MBO

    목표 진행에 관한 피드백과 함께 명시적인 기간 동안 참가적으로 설정된 구체적 목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

  • 브레인스토밍

    대인에 대해 어떠한 비판도 하지 못화게 하면서 모든 대인을 구체적으로 조장하는 아이디어 발생과정

  • 빅파이브 모델(big 5)

    외향성, 치노하성, 성실성, 감정안정성, 개방성 등과 같은 다섯가지 차원으로 성격을 측정하는 모델

  • 사회적 태만(social loafing)

    개인으로 일할때 보다는 집단으로 일할때 개인이 노력을 덜 들이려는 경향

  • 심리적 계약(psychological contract)

    경영자가 종업원으로부터 기대하고 종업원이 경영자로부터 기대하는 것을 정한 불문의 계약

  • 역할 갈등

    개인이 다른 역할 기대에 직면하게 되는 상황

  • 역할 지각

   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개인의 견해

  • 응집성(cohesiveness)

    집단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이끌리고 집단 내에 머물도록 동기부여 되는 정도

  • 자기감시성(self monitoring) 혹은 자기관찰

    자신의 행동을 외부 상황적 요인에 적응시키는 개인의 능력을 측정한 수준

  • 자기보호오류(self-serving bias)

    자신의 성공에 대해서는 내재적 요인에 그 원인을 귀속 시키고, 실패에 대한 비난은 외재적 요인으로 귀속시키는 경향

  • 자기실현적 예언(self-fulfilling prophecy) 또는 피그말리온 효과(pygmalion effect)

    한 사람이 자신이 아닌 또 다른 제 2의 자신을 지각하여 궁극적으로 기대핳는 사항을 염원함으로써 또 다른 제 2의 자신이 원래 자신이 지각한 상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결과를 보이도록 하는 방법, 즉 자기자신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는 대로(예언하는 대로) 된다는 것

  • 자기효능감(self efficacy)

    어떤 과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믿음

  • 제한된 합리성

    개인의 의사결정 활동은 복잡 다단한 모든 사항을 통해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, 핵심 사항만 다루는 제약적이고 단순화된 모델을 통해 이루어짐

  • 조직시민행동(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)

    조직의 심리적인 환경에 기여하는 행동으로, 구체적으로 자발적으로 타인을 도와주거나 조직차원의 목적을 지원하거나, 동료를 존중하는 태도로 대하거나 건설적인 의견을 제시하거나 직장에 대해 긍정적 발언을 하는 것 등을 의미함. 즉, 시키지 않더라도 남의 일을 돕는 것과 같이 조직의 심리적 환경에 기여하는 행위를 말함

  • 종업원 참여

    종업원의 투입을 활용하여 조직의 성공에 대한 종업원 몰입은 증가시키고자 하는 하나의 참가적 과정

  • 직무 순환(job rotation)

    종업원이 한 과업에서 다른 과업으로 주기적으로 이동한는 것

  • 직무충실화

    작업자가 작업의 계획, 실행, 평가를 통제하는 정도를 증가시키는 직무의 수직적 확대

  • 직무특성모형

    어떤 직무든 다섯가지 핵심직무 차원, 즉 기능 다양성, 과업 정체성, 과업 중요성, 자율성, 피드백으로 기술할 수 있다고 제안하는 모형

  • 직장내일탈행동(work place deviant)

    중요한 조직 규범을 위반하고, 그 과정에서 조직과 그 구성원의 안녕을 위협하는 자발적인 행동임

  • 집단사고(groupthink)

    합의에 대한 규범이 대안적인 행동 과정의 현실적인 평가를 무시하는 현상

  • 활용적 편견(availability bias)

    즉각적으로 이용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단하려는 성향